2024.06.18 (화)

  • 맑음동두천 19.2℃
  • 맑음강릉 25.7℃
  • 맑음서울 21.2℃
  • 맑음대전 19.8℃
  • 맑음대구 23.7℃
  • 맑음울산 21.5℃
  • 맑음광주 19.7℃
  • 맑음부산 21.0℃
  • 맑음고창 18.1℃
  • 맑음제주 20.7℃
  • 맑음강화 19.2℃
  • 맑음보은 16.1℃
  • 맑음금산 16.3℃
  • 맑음강진군 20.5℃
  • 맑음경주시 23.7℃
  • 맑음거제 20.1℃
기상청 제공

주요기사



광주 소각장 입지 선정 임박…후보지 주민들 "우리 동네 안돼"

다음 달 중순 선정 앞두고 예비 후보지 반발 본격화
공모 무산 후 광주시 직접 선정 시나리오도 '솔솔'

[쓰레기 소각시설 후보지 선정 철회 요구하는 광주 광산구 주민들]

 

2030년부터 시행하는 생활 쓰레기 직매립 금지 조치에 대비해 광주시가 건립하는 자원회수 시설(소각장) 후보지 선정을 앞두고 예비 후보지 주민들의 반발이 본격화했다.

 

17일 광주시에 따르면 입지 선정위원회는 서구 매월동, 북구 장등동, 광산구 삼거동 등 3곳에 대한 적정성 분석 후 다음 달 중순께 최종 후보지를 선정할 방침이다.

 

애초 입지 공모에는 모두 7곳이 지원했으나 1곳은 철회하고, 3곳은 주민 동의서 등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용역 기관에서 남은 3곳 별로 사회적 영향, 경제성, 입지 요건 등을 분석한 뒤 그 결과를 토대로 최적의 장소를 찾게 된다.

 

평가 지표에는 민원 항목도 포함 해당 지역에서는 일제히 주민 반발이 나왔다.

 

반대 서명 운동과 함께 광주시 담당 직원의 사무실 전화번호를 공유해 민원 전화를 독려하는 '좌표 찍기'까지 등장했다.

 

매월동 반대 주민들은 이날 오전 광주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어 소각장 건립 추진이 밀실 행정이라고 주장했다.

 

진보당 서구을 지역위원회는 곳곳에 현수막을 걸어 반대 여론을 모으고 있다.

장등동 주민들도 이날 오후 광주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 예정이다.

 

삼거동에서는 가장 먼저 대외적인 반발이 시작됐으며 이 과정에서 주민 동의서의 적격성을 두고 논란이 일기도 했다.

 

공모는 부지 면적 6만6천㎡(자연녹지 지역 기준) 이상 확보할 수 있는 곳으로 신청 부지 경계로부터 300m 이내 주민등록상 세대주를 대상으로 50% 이상 동의를 얻은 자치구, 개인, 문중 대표, 단체 등을 지원 대상으로 했다.

 

근거리 주민들의 절반 이상 동의를 얻었다 해도 경계 밖 주민들이 오염 물질로 생기는 환경적 영향이나 건강권 침해 등을 이유로 반대 목소리를 내는 형국이다.

 

광주시는 오염물질은 최소화, 에너지 활용은 극대화하는 친환경 시설로 여가 공간, 편의 시설 등을 함께 조성해 주민들이 즐겨 찾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

 

광주시는 주변 지역 등에 600억∼800억원을 투입해 편의 시설을 설치하고, 주민 숙원 사업 추진비(300억원)와 자치구 교부금(200억원)을 특별 지원할 예정이다.

 

공모를 통한 선정이 여의찮으면 광주 전 지역을 대상으로 입지를 직접 물색하는 방안도 추진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직접 선정'은 '지원 응모' 방식보다 더 큰 민원을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돼 입지 선정은 순탄치 않아 보인다.

 

2029년까지는 시설을 준공해 2030년 가동해야 하는 만큼 광주시의 갈등 관리와 추진력이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광주시 관계자는 "생활 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처리하려면 자원회수 시설 건립이 필수"라며 "주민 친화형, 친환경, 지역 명소화를 원칙으로 입지를 선정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최신기사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