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구름조금동두천 7.1℃
  • 맑음강릉 17.3℃
  • 맑음서울 10.3℃
  • 맑음대전 8.4℃
  • 맑음대구 10.8℃
  • 맑음울산 10.0℃
  • 맑음광주 11.1℃
  • 맑음부산 12.7℃
  • 맑음고창 9.5℃
  • 맑음제주 12.6℃
  • 구름많음강화 9.5℃
  • 맑음보은 4.8℃
  • 맑음금산 5.1℃
  • 맑음강진군 6.6℃
  • 맑음경주시 7.4℃
  • 맑음거제 9.0℃
기상청 제공

사회

주요기사



경실련 "LH 사태로 건설체계 붕괴 드러나…근본 개선 필요"

10대 제도개선안 제안…"'전관 특혜 근절' 대통령특위서 논의"

[경실련 "지자체 인허가권 박탈해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올해 4월 검단신도시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가 건설사업 체계 붕괴를 드러내는 사태라며 10대 제도개선안을 제시했다.

 

경실련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LH 인천검단 붕괴사고는 설계·감리·시공사의 유기적 체계가 한꺼번에 붕괴된 초유의 사태"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전관 특혜를 근절하기 위한 대통령 직속 특별위원회를 만들어 개선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경실련이 제시한 개선안에는 원청인 시공사가 부실시공 등에 대한 책임을 하도급 업체에 떠넘기는 것을 방지하는 직접시공제 확대, 인·허가 시 설계용역 계약서류 제출 의무화 등이 담겼다.

 

소비자에게 설계도면·공사비 내역서·공사시방서뿐 아니라 감리보고서를 주기적으로 공개하고 입주자가 시공 현장을 점검할 수 있도록 출입권을 보장할 것도 촉구했다.

 

[경실련, LH 붕괴사고 관련 시민제안 기자회견]

 

외국인노동자 불법고용 근절, 지역건축안전센터 설립 의무화, 인·허가권자인 지자체의 감리계약 직접 체결, 설계 비용·감리대가 등 지출내역 공개, 전관 영입 업체의 출신기관 발주 사업 입찰참가 원칙적 금지 등도 제안했다.

 

김성달 경실련 사무총장은 "잊을만하면 매번 반복되는 부실시공과 붕괴 사고에 국민들은 계속 분노해왔고 정부는 요란스럽게 해법을 찾겠다고 했지만 전혀 해결되지 않았다"며 "국회, 국토부, 대통령이 직접 이 문제를 챙겨야 한다"고 말했다.

 

신영철 경실련 국책사업감시단장도 "불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든 가장 큰 책임은 인·허가권자인 지자체, 공공발주기관을 포함한 중앙정부, 국회에 있다. 그분들에게 책임을 지울 수 있는 의무를 부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최신기사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