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에 지급되는 보통탄의 10분의 1 수준 저위험 권총]
정부가 잇단 흉악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 관련 예산을 올해의 4배 이상 투입하기로 했다.
정부가 29일 발표한 2024년 예산안에 따르면 범죄 대응력 강화를 위한 예산으로 올해 2천735억원보다 약 4.2배 많은 총 1조1천476억원을 책정했다.
이른바 '묻지마 범죄' 등 흉악범죄 대응 예산으로 1천억원이 새로 투입, 현재 경찰관 2.3명당 1정 정도인 총기를 1명에 1정씩 지급하는 데 86억원이 쓰인다.
경찰은 순찰 업무를 담당하는 지구대·파출소 소속 경찰관에게 우선 2026년까지 저위험 권총 2만9천정을 지급할 방침이다.
지급이 완료되면 기존 38구경 권총 2만2천정까지 합쳐 경찰이 보유하는 총기는 모두 5만1천정이 된다.
이후에는 전체 경찰관에게 단계적으로 지급할 방침, 지난해 도입한 저위험 권총은 살상용인 38구경 권총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안전장치도 달려있다. 저위험 권총에 사용되는 특수 탄환의 살상력은 보통탄의 10분의 1 수준이다.
잇따른 흉기난동 사건 이후 경찰은 주요 다중밀집장소에 장갑차와 특공대를 배치하는 등 강력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실질적인 범죄 대응력 강화를 위해선 유사시 현장에서 가장 요긴하게 쓸 수 있는 저위험 권총 등 비살상용 장비 보급이 확대돼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