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주요기사



벌어서 빚도 못 갚은 한계 기업…광주·전남 10곳 중 2곳

한은 보고서, 코로나 이후 지역 기업 부채 급증 건설·부동산·에너지 업종 취약…부채 비율 전국 평균 훌쩍

[한계기업[PG]]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이, 업종별로는 건설업과 부동산업 등에서 빚이 큰 폭 증가했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할 수 없는 이른바 취약 기업도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큰 폭 늘었다.

 

12일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경제조사팀이 지역 대·중소기업 1천553개(광주 842개, 전남 711개)의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자기자본 대비 부채비율은 광주와 전남이 각 185.8%와 128.5%로 집계됐다.

 

전국 광역시(135.7%)와 도지역(92.1%) 평균을 훌쩍 넘어선 수준이다.

 

자기자본 대비 부채비율이 200%를 넘는 과다부채기업(자본잠식기업 포함) 비중도 광주가 60.3%로 전국 시도 중 가장 높았다.

 

업종별로 부동산업 부채비율은 광주와 전남에서 각 319.3%와 582.7%로, 부동산업을 제외한 전산업 평균(광주 141.2%, 전남 83.6%)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부동산업의 과다 부채비율은 각 78.2%와 88.6%로 10곳 중 8∼9곳에 달했다.

 

조사팀은 부동산업의 부채 규모가 생산활동에 비해 너무 과도하며 지역 내 미분양 주택 증가, 상가 임대가격 하락세 등 부동산업의 부진이 지속하면 부실 위험은 더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기업이 번 수익으로 금융비용을 부담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이자보상비율도 수익 부진, 대출금리 상승 등으로 계속 낮아져 광주는 284.6%, 전남은 361.7%로 광역시(335.4%)와 도(557.2%) 평균을 밑돌았다.

 

특히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충당 못 하는 취약 기업(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비중이 코로나19 이후 증가했는데 광주와 전남에서 각 43.2%와 33.4%에 달했다.

배너
배너

최신기사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