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구름조금동두천 19.5℃
  • 흐림강릉 23.2℃
  • 구름많음서울 19.6℃
  • 구름많음대전 22.1℃
  • 흐림대구 22.4℃
  • 구름많음울산 16.7℃
  • 구름많음광주 19.3℃
  • 흐림부산 15.3℃
  • 구름많음고창 19.0℃
  • 구름많음제주 21.8℃
  • 구름많음강화 17.1℃
  • 구름많음보은 20.0℃
  • 맑음금산 22.0℃
  • 구름많음강진군 17.7℃
  • 구름조금경주시 20.8℃
  • 구름조금거제 15.7℃
기상청 제공

사회

주요기사



'응급실 뺑뺑이' 막으려면…"병원에 패널티보다 지원이 먼저"

서울대병원 외상외과 박찬용 교수 인터뷰…"수술거부 아닌 불가" "응급이송 컨트롤타워 필요…'인력·시설·장비' 삼박자 맞춰야"

[서울대학교병원 외상외과 박찬용 교수](사진:연합)

 

 "전공의 등 보조 인력도 없고, 수술할 사람이라곤 저뿐이었죠. 회의하고 있는 혈관외과 교수님을 재촉해 단둘이서 수술을 했어요. 달리 갈 병원이 없었기 때문이죠."

 

31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만난 외상외과 박찬용 교수는 지난 9일 있었던 소아 환자 수술에 대해 '막막한 순간'이었다고 말했다. 환자는 자전거를 타다 화단에 넘어져 굵은 나뭇가지가 목을 관통한 상태였다. 다행히 큰 동맥과 정맥을 비껴갔지만, 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는 치료가 불가했다. 어린이 환자를 수술할 의사가 없었기 때문이다.

 

서울대병원으로 왔지만 수술할 인력이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박 교수는 다음날 새벽에나 수술이 가능하단 말에 털썩 주저앉아 흐느끼는 부모를 보며 '단둘이라도 해야겠다'는 결심을 했다. '골든타임'을 지킨 소아 환자는 무사히 회복해 퇴원했다.

 

◇ '수술거부' 아니고 '수술불가'…"패널티보다는 현실적 지원이 필요"

 

자칫 수술실을 찾지 못해 사망하는 '응급실 뺑뺑이' 사건이 될 뻔한 사례다. 박 교수는 잇따르는 응급실 이송 중 사망사건에 대해 "패널티(행정처분)보다는 현실적으로 병원이 환자를 받을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0여 곳의 병원에서 '수용거부'했다는 표현이 맞을까요. 저는 '수용불가'였다고 봅니다." 박 교수는 지난 30일 일어난 용인 '뺑뺑이' 사고에서 환자를 받지 못한 병원에 권역외상센터마저 포함돼 있었다는 사실에 센터를 지정만 해서 될 것이 아니라 '인력·시설·장비' 삼박자가 맞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금도 '워라밸(일과 삶 균형)'이나 높은 보수를 찾아 응급센터를 빠져나가는 인력이 많은데, 행정처분 등의 위험부담을 지게 된다면 의사들은 더욱 응급의료를 기피할 것이란 얘기다.

 

"권역외상센터에서도 수술을 할 의사나 수술실, 병상이 부족해 우리 병원으로 전원된 적이 있었습니다. 병원이 거부하는 게 아니라 정말로 응급수술을 못 하는 상황인 거죠."

 

그러면서 계속해서 개소가 늦어지고 있는 서울권역외상센터 역시 기존 계획보다 크게 규모를 늘리지 않으면 뺑뺑이가 반복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 인구수와 교통체증 등을 감안했을 때 센터 수 자체를 늘리는 것까지도 고려해야 한다고 봅니다."

배너
배너

최신기사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