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처음으로 온전한 형태로 남아 있는 벽돌가마가 진안군에서 발견됐다.
이번 발견은 초기 청자 생산 가마의 구조와 제작 기술을 밝히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진안군의 지원을 받아 국립군산대학교 박물관(관장 곽장근)이 진행한 ‘진안 도통리 초기청자 가마터 발굴조사’에서 벽돌가마가 추가로 확인됐다.
조사구역은 기존 사적 지정 구역에서 동쪽으로 약 110m 떨어진 지점으로, 이로 인해 가마의 분포 범위가 예상보다 넓었음이 입증됐다.
현재까지 조사된 구간은 약 14m이나, 기존 사적 지정구역에서 조사된 가마의 형태와 지형 및 폐기장 등을 고려했을 때 전체 길이는 40m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번 발굴에서는 청자를 구웠던 주요 공간이 확인됐으며, 초기에는 벽돌가마로 축조된 후 점차 진흙가마로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벽돌가마와 진흙가마의 천정이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은 한반도에서 처음 발견된 사례로, 학술적으로도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또한, 벽돌을 층층히 쌓아 가마를 조성한 점에서 중국 청자 제작 기술이 국내에 전래돼 정착했음을 알 수 있다.
진흙가마 벽체에는 12차례 이상의 보수 흔적이 남아 있어 오랜 기간 동안 가마가 운영됐음을 보여준다.
측면 출입시설 역시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어 청자 생산 과정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가마 폐기장에서는 선해무리굽*이 적용된 청자 완(사발)과 접시, 꽃모양 접시, 주전자 편, 다양한 형태의 갑발(匣鉢)*, 벽돌 조각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
이는 당대의 수준 높은 청자 제작 기술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가마의 구조와 함께 중국과의 교류 관계를 밝혀줄 중요한 자료다.
또한 진안군 성수면 도통리에 위치한 이 가마터는 후백제 도성인 전주와 인접한 지역으로,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등을 토대로 후백제에 의해 운영됐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전춘성 진안군수는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초기청자 생산 가마의 구조와 제작 기술, 중국과의 교류를 규명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했다”며 “향후 추가 발굴조사를 추진하고, 사적 구역 확대 등 유적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 유적을 역사문화 관광자원으로 활용해 많은 국민이 진안을 방문하고 도자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선해무리굽 : 초기 청자의 굽 형태 중 하나로 굽의 접지면이 둥근 띠를 이룸
·갑발(匣鉢) : 청자를 구울 때 외면에 잡티 등이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씌우는 보호 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