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9회 항저우 아시안게임 국가별 메달 순위(28일) 순위 나라 금 은 동 1 중국 90 51 26 2 한국 24 23 39 3 일본 18 30 30 4 우즈베키스탄 6 10 15 5 인도 6 8 11 6 태국 6 3 9 7 홍콩 5 12 15 8 대만 4 4 6 9 이란 3 9 10 10 북한 3 5 4 11 카자흐스탄 3 3 16 12 인도네시아 3 3 10 13 싱가포르 2 4 4 14 말레이시아 2 2 5 15 베트남 1 2 11 16 아랍에미리트 1 1 4 17 마카오 카타르 1 1 2 19 쿠웨이트 타지키스탄 1 1 1 21 키르기스스탄 1
광주광역시 소상공인연합회에는 제 5기 (광주 동구, 서구, 남구, 북구, 광산구) 지부장을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관련 문의는 이메일(kfme_gwangju@naver.com), 전화번호(010-8618-3372)로 문의 바랍니다. *첨부파일: 소상공인연합회 광주광역시 지부회장 신청서.hwp
2022 19회 항저우 아시안게임 국가별 메달 순위(26일) 순위 나라 금 은 동 1 중국 53 29 13 2 한국 14 16 19 3 일본 8 20 19 4 우즈베키스탄 5 6 11 5 홍콩 5 4 10 6 인도 3 3 6 7 인도네시아 3 1 5 8 대만 2 3 3 9 태국 2 0 5 10 이란 1 4 5 11 아랍에미리트 1 1 3 12 타지키스탄 1 1 1 13 마카오 1 0 2 14 키르기스스탄 1 0 0 15 북한 0 3 2 16 카자흐스탄 0 2 7 17 몽골 0 2 4 18 말레이시아 0 2 2 19 베트남 0 1 5 20 브루나이
[환호하는 윤지수 선수] 윤지수(서울특별시청)가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펜싱 여자 사브르 개인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윤지수는 26일 중국 항저우의 전자대학 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여자 사브르 개인전 결승에서 사오야치(중국)를 15-10으로 물리치고 우승을 차지했다. 2014 인천과 2018 자카르타·팔렘방 대회 여자 사브르 단체전 우승 멤버인 윤지수는 아시안게임 개인전 첫 입상을 금메달로 장식했다. 2021 도쿄 올림픽 여자 사브르 단체전 동메달리스트이기도 한 그는 선수 시절 프로야구 롯데 자이언츠의 에이스로 활약했던 윤학길 KBO 재능기부위원의 딸로도 잘 알려져 있다. 한국은 아시안게임에서 여자 사브르 개인전이 열린 6개 대회에 빠짐없이 메달을 기록했고, 이 중 4차례 우승자를 냈다. 2002년 부산 이신미, 2010년 광저우 김혜림, 2014년 인천 대회 이라진에 이어 9년 만에 윤지수가 금메달을 안겼다.
[사격 10m 러닝타깃 단체전 금메달 획득] 한국 사격 대표팀이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남자 10m 러닝타깃 혼합 단체전 금메달을 차지했다. 정유진(청주시청), 하광철(부산시청), 곽용빈(충남체육회)으로 구성된 한국 대표팀은 26일 중국 항저우 푸양 인후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대회에서 1천116점을 기록, 5개 참가국 가운데 1위에 올랐다. 전날 이들은 남자 10m 러닝타깃 정상 단체전에서 한국 사격의 첫 금메달을 수확했다. 하루 만에 또 금빛 총성을 울린 것이다. 러닝타깃 일인자 정유진이 377점을 맞혔고 하광철과 곽용빈이 각각 373점, 366점을 올렸다. 개인 성적에서 북한의 권광일과 공동 2위에 오른 정유진은 '남북 대결' 슛오프에서 고배를 마시고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권광일은 은메달이다. 정유진은 전날 정상 개인전에서도 슛오프 끝에 동메달을 획득했다. 러닝타깃은 사냥감처럼 옆으로 움직이는 표적을 맞히는 종목이다. 표적 속도가 일정한 정상 종목과 무작위로 속도가 달라지는 혼합으로 나뉜다. ◇ 26일 전적(항저우 푸양 인후 스포츠센터) ▲ 사격 남자 10m 러닝타깃 혼합 단체전 1. 한국(1천116점) 2. 카자흐스탄(1천111점) 3. 인도네시
항저우 아시안게임에 출전한 한국 럭비 대표팀 (사진=대한럭비협회) 항저우 아시안게임에 출전한 한국 7인제 럭비 대표팀이 21년 만의 금메달을 따내기까지 '1승'만을 남겨뒀다. 이명근 감독이 이끄는 대표팀은 26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사범대 창첸 캠퍼스 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4강전에서 개최국 중국을 36-7로 격파했다. 경기 시작 1분 만에 장용흥(한국전력)이 트라이를 성공하며 5-0으로 앞선 대표팀은 정연식(현대글로비스)도 3분 후 득점에 가세하며 일찌감치 10-0으로 달아났다. 24-0으로 후반을 맞은 대표팀은 3분 만에 리하이타오에게 트라이, 마총에게 컨버전킥을 허용하며 7점을 내줬으나 4분 후 장정민, 김남욱(이상 한국전력)도 트라이·컨버전킥으로 7점을 합작해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경기 종료 직전 장정민이 또 한 번 트라이를 성공하며 36점째를 찍었다. 지난 24일 대만,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팀과 조별리그 B조 2경기를 모두 이긴 대표팀은 25일 8강 상대 말레이시아에 이어 중국까지 꺾으며 4연승으로 결승 무대를 밟았다. 럭비 종목 관장 기구인 월드럭비(WR)의 징계를 받은 스리랑카가 자국 이름을 쓸 수 없어 OCA의 이름을 빌려 이번 대회에 출전
2022 19회 항저우 아시안게임 메달 순위(25일) 순위 나라 금 은 동 1 중국 39 21 9 2 한국 10 10 13 3 일본 5 14 12 4 우즈베키스탄 4 4 6 5 홍콩 3 4 7 6 인도 2 3 6 7 대만 2 1 3 8 인도네시아 1 1 4 9 태국 1 0 2 10 마카오 타지키스탄 1 0 1 12 이란 0 3 5 13 북한 0 2 2 14 베트남 0 1 5 15 카자흐스탄 0 1 4 16 몽골 0 1 3 17 아랍에미리트 0 1 1 18 브루나이 스리랑카 0 1 0 20 필리핀 0 0 2 21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쿠웨이트 싱가포르
[25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의 린안 스포츠문화전시센터에서 열린 항저우 아시안게임 태권도 겨루기 혼성단체전 8강에서 대한민국 박우혁이 공격하고 있다]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첫선을 보인 태권도 겨루기 혼성 단체전에서 우리나라가 동메달을 확보했다. 박우혁, 서건우(이상 한국체대), 이다빈, 김잔디(이상 삼성에스원)는 25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 린안 스포츠문화전시센터에서 열린 대회 태권도 겨루기 혼성 단체전 8강전에서 대만 팀(주이루이, 리멍언, 로자링, 린웨이준)을 3라운드 도합 93-43으로 완파했다. 이로써 4강에 오른 우리나라 선수들은 적어도 동메달은 받게 됐다. 아시안게임 태권도는 3∼4위 결정전을 치르지 않고 준결승전에서 패한 팀에게 모두 동메달을 준다. 아시안게임에는 처음 도입된 혼성 단체전은 남자 2명과 여자 2명, 총 4명이 한 팀을 이뤄 일대일 방식으로 승부를 겨룬다. 출전 기준은 체중에 따른다. 남자 2명의 합산 체중은 160㎏, 여자 2명의 합산 체중은 135㎏를 넘으면 안 된다. 1라운드 4분, 2·3라운드는 3분씩 진행된다. 1라운드에는 4명이 1분씩 교체하고, 2·3라운드에서는 수시로 선수를 바뀐다. 단 동성 선수끼리만 상대한다. 1라운드
우승을 확정한 조원우 (사진=대한요트협회) 조원우(해운대구청)가 항저우 아시안게임 요트 남자 윈드서핑 RS:X급에서 대한민국 수상 종목 가운데 첫 번째로 금메달 획득을 확정했다. 조원우는 25일 중국 저장성 닝보 샹산 세일링센터에서 열린 대회 남자 윈드서핑 RS:X급 11·12차 레이스에서 모두 1등을 차지했다. 26일 13·14차 레이스가 남았지만 앞선 12번의 레이스에서 가장 적은 벌점(13점)을 쌓은 조원우가 우승을 하루 일찍 확정했다. 조원우는 2위를 기록한 1차 레이스를 제외하고 11번의 레이스 모두 1위를 차지하는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였다. 대한요트협회에 따르면 1회 레이스 불참 시 벌점 7점을 받는다. 26일 펼쳐지는 2회 레이스에 모두 불참해도 한 번은 최종 성적에서 제외할 수 있어 산술적인 조원우의 벌점 최대치는 20점이다. 현재 2위인 태국 낫타퐁 포놉파랏의 벌점 총합은 27점이고, 여기에 가장 성적이 낮았던 1차 레이스(5등·벌점 5점)를 빼더라도 조원우를 넘을 수 없다. 조원우의 우승으로 이번 대회 우리나라 수상 종목에서도 첫 금메달이 나왔다.
[북한 유도대표팀 문성희] 북한이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첫 은메달을 확보했다. 북한 유도 대표팀 문성희(21)는 25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 샤오산 린푸 체육관에서 열린 유도 여자부 70㎏급 준결승에서 우즈베키스탄의 굴노자 마트니야조바를 연장(골든스코어) 접전 끝에 반칙승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문성희는 이날 오후 일본 대표팀 다나카 시노와 금메달을 놓고 결승전을 펼친다. 25일 오후 현재 동메달 1개를 획득한 북한은 문성희의 결승전 결과에 따라 대회 첫 금메달까지 노릴 수 있다. 문성희는 이날 16강전에서 한국 대표팀 한희주(KH필룩스)를 연장 끝에 반칙승으로 누르고 8강에 진출했고, 8강에선 몽골의 에르데네 바츠우리를 역시 연장 혈투 끝에 반칙승으로 꺾었다. 무려 8분이 넘는 긴 시간 동안 경기를 치렀지만, 문성희는 지친 기색을 보이지 않았다. 그는 마트니야조바와 4강전에서 경기 시작 38초에 지도 1개씩을 주고받았고, 정규시간 2분을 남기고 소극적인 플레이를 했다는 이유로 두 번째 지도를 받아 코너에 몰렸다. 그러나 정규시간 16초를 남기고 상대에게 두 번째 지도를 뺏어 균형을 맞췄다. 연장에 들어간 문성희는 상대 선수의 세 번째 지도 판정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