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0 (월)

  • 맑음동두천 0.8℃
  • 흐림강릉 4.9℃
  • 연무서울 2.6℃
  • 연무대전 3.5℃
  • 연무대구 2.5℃
  • 연무울산 4.2℃
  • 연무광주 4.2℃
  • 연무부산 6.1℃
  • 구름조금고창 0.7℃
  • 구름조금제주 7.5℃
  • 맑음강화 -0.5℃
  • 맑음보은 -2.1℃
  • 맑음금산 -0.6℃
  • 맑음강진군 4.9℃
  • 구름조금경주시 1.4℃
  • 맑음거제 3.4℃
기상청 제공

중, 소상공인 뉴스

주요기사



한병도 의원, 경기도 소하천 정비율 54.5% 불과 402개소에서 240억원대 피해

도내 정비율 하위 기초지자체 △포천 12.7% △파주 15.7% △하남 20.9% △부천 32% △양주 40%

 

(중소상공인뉴스) 국고보조사업인 소하천 정비사업이 자치단체 자체사업으로 전환된 후,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일수록 하천 범람 등 홍수피해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을)이 14일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기초자치단체별 소하천 정비 및 피해 현황’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 소하천 정비율은 54.5%에 불과하고 402개소에서 240억원대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하천 관리 권한은 '소하천정비법'에 따르면 기초지자체에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2만 2,099개소(총연장 5만 5,679㎞)가 관리대상으로, 지류·지천인 소하천 주변으로 농경지가 많이 분포해 있어 집중호우 때마다 침수피해가 반복되고 있다.

 

특히 경기도내 정비대상이 되는 소하천 총연장 길이는 5,012km로 △화성 488km △여주 428km △용인 398km △안성 395km △양평 346km 등으로 확인된다.

 

경기도 전체 소하천 정비율은 54.5%에 불과했다. 시·군별로는 △포천 12.7% △파주 15.7% △하남 20.9% △부천 32% △양주 40% 등으로 지자체의 인력과 예산 수준으로 정비율 제고가 어렵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한편 2020년 하천정비 사업 예산의 지방이양이 추진된 이후 경기도의 2022년 기준 피해규모는 24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별로는 △양평 68억 4천만원 △여주 28억 6천만원 △광주 22억 9천만원 등 순이었다.

 

한 의원은 “재정력이 풍부한 지자체는 소하천 정비가 원활하지만,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에는 큰 부담이 된다”면서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사업인 만큼 지자체별 소하천 정비에 과소투자가 없도록 경기도가 기초지자체와 적극 협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최신기사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