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국립의대 설립 촉구']
전남 최대 숙원 중 하나인 국립 의과대학의 2026학년도 개교가 무산되면서 대선 공약 반영 등 후속 추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의대 설립 확정과 시기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 의대 설립이라는 '꿈'이 이뤄지더라도 이후 의료시설 배치와 전문 의료진 배출 등 물리적 기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해 당장 지역별 필수 의료체계 구축·가동이 시급하다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
16일 전남도와 순천시 등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현재 전남에는 산부인과 병의원 19곳, 소아청소년과 25곳이 운영 중이다.
그나마도 목포, 나주, 여수, 순천, 광양 등 5개 시(市)에만 쏠려 22개 시·군 가운데 14곳에는 산부인과, 15곳에는 소아청소년과가 없다.
섬을 비롯한 의료 취약 지역도 산재해 의대·대학병원 유치가 전남 지역 숙원이 됐다.
민관정이 합심해 총력을 쏟았던 2026년 국립 의대 신설 무산으로 전남도 등은 2027년 개교로 계획을 수정했다.
그러나 지역 의료 현실은 불확실한 의대 유치를 막연히 기다릴 만큼 여유롭지 않다.
의대·대학병원 설립이 확정되더라도 그 시설을 갖추는데 몇 년, 전문의를 자체 배출하는 데까지는 학부·수련 과정을 합쳐 10년 이상이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그동안 의료 소외·공백 지역을 줄이는 것이 시급해 보인다.
이와 관련, 의대 설립 때까지 지역 의료자원을 결합해가기로 한 순천시의 공공 의료체계 구축은 시사점을 남긴다.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지역 심뇌혈관 질환 센터, 달빛 어린이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 지역센터 등 의료자원을 최대한 연계해 대학병원에 준하는 협진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순천 지역 의료 자원 결합은 무겁지 않은 질환 치료를 위해 광주까지 옮겨가야 하는 지역 현실에 대한 노관규 시장의 절박한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졌다.
순천에도 종합병원이 있기는 하지만, 복합 질환자의 경우 특정 진료과목이 없어 중증이 아닌데도 광주의 대학병원까지 가는 사례가 빈번했다.
전남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인 전원율 등을 고려해 지역 내 병원끼리 협진 체계로 적어도 멀리 광주까지 가는 일은 최대한 줄여야겠다는 게 공공 의료체계 구축의 지향이라고 순천시는 전했다.
순천에는 거점 역할을 할 종합병원이라도 있지만, 상당수 군 단위 지역은 그조차도 없어 '순천의 실험'조차 언감생심이다.
동·서·중부권 등 생활권이 같은 지역 의료자원을 권역별로 묶어 공공 의료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현실적 제안이 나오는 이유다.
시·군별 의료 자원의 공유, 활용 체계 구상을 위해 전남도에 컨트롤타워 역할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있다.
순천시 관계자는 "필수 의료시설조차 없는 지역에서는 자체적으로 협진 체계를 갖추기 어렵다"며 "규모가 큰 지역의 종합병원, 공공의료원 등 거점을 중심으로 인근 시·군의 자원을 결합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의대·대학병원 유치가 최고의 방안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언제 실현될지 장담할 수도, 의대가 '만병통치약'이 될 수도 없다"며 "감나무 밑에서 감(의대 설립) 떨어지기만을 기다릴 게 아니라 의대 유치는 물론 허약한 의료체계 보완 방안도 함께 모색하는 두 갈래 전략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