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공연 "먹통 피해 실질적 보상해야"…카카오 "곧 협의 시작"

  • 등록 2022.11.09 10:32:17
크게보기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는 카카오[035720] 먹통 사태에 대해 지난달 17∼31일 약 2주간 피해 접수를 진행한 결과 2천117곳의 소상공인 업장이 피해를 호소했다고 9일 밝혔다.

 

업종별로는 외식업이 26.9%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서비스업(20.8%), 운수업(20.2%), 도소매업(18.7%)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외식업의 경우 카카오페이[377300] 결제 불가에 따른 피해가 가장 컸고, 톡 채널 마비에 의한 주문 접수 불가, 배달 대행업체에서 카카오맵을 이용하는 데 따른 배달 불가 등의 피해가 컸다.

 

서비스업에서는 응답자 411명 중 약 80%인 326명이 톡 채널 마비로 인한 피해를 호소했다. 서비스업의 경우 코로나 확산 이후 톡 채널을 활용해 100% 예약제로만 운영해온 곳이 많았다.

 

 

소공연은 "운수업은 지역에서 개인택시를 운행하는 기사들 피해 호소가 빗발쳤다"며 "도심과 달리 배회 운행을 하지 않는 지역 택시의 경우 카카오T가 시장을 독점한 뒤 중소 콜택시업체가 고사하며 카카오T에 전적으로 의존해와 더 큰 피해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소공연은 "카카오 측은 유·무료 서비스 여부를 떠나 마비에 따른 소상공인의 피해에 대해 소상공인이 공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보상안을 마련하고 피해보상협의체 구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카카오 측은 이와 관련해 "소공연을 포함해 여러 단체와 협의체 구성을 논의해 왔고 곧 최종 확정해 협의를 시작 할 것"이라며 "빠른 시일 내 협의를 마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상희 기자 ess4242@ijsn.kr
Copyright @중소상공인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 제호 : 중소상공인뉴스 I 법인명 : 사)중소상공인뉴스
· 대표/발행인 : 이기성 I 편집국장/편집인 : 이상희
· 등록번호 : 광주-아00364호 I 등록연월일 : 2021년 3월 18일
· 사업자등록번호 : 780-82-00363
· 주소 :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376 3층 전관
· 뉴스제보 : 대표 이메일 ijsn@ijsn.kr
· 대표전화 : 1855-1696 I 팩스 : 062-528-1696
Copyright @중소상공인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