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소상공인연합회, “지역사랑상품권, 이름 그대로 지역을 위한 제도로 남아야 한다”

  • 등록 2025.10.30 18:51:40
크게보기

– 하나로마트 가맹 추진, 소상공인의 생존을 위협한다

[전라남도소상공인연합회 박정선 회장은 “지역경제의 근간인 소상공인을 보호하고 지역 내 소비 순환을 지켜내야 한다”며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사진=전라남도소상공인연합회 제공)

 

요즘 정치권과 일부 유통세력의 움직임을 지켜보며 참담한 마음을 감출 수 없다.지역의 숨결이 살아 있는 소상공인을 살리고자 도입된 지역사랑상품권 제도가, 이제는 거대 유통망을 가진 농협 하나로마트의 매출 확대 수단으로 전락할 위기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일부 국회의원들과 지방선거 출마자들이 하나로마트의 상품권 가맹 허용 및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은 지역 소상공인들에게 충격 그 자체다. 그들은 “농민과 지역 소비자 편의”를 앞세우지만, 그 이면에는 유통 카르텔과 표심을 노린 정치적 계산이 숨어 있다.

 

지역사랑상품권의 취지는 매우 분명하다.대형마트와 프랜차이즈에 밀려 벼랑 끝으로 내몰린 영세 상인과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한, 지역경제 회생의 마중물이다. 실제로 행정안전부 분석에 따르면 지역화폐 결제의 78.6%가 소상공인 매출에 직접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자본력과 물류망을 갖춘 하나로마트까지 가맹점에 포함된다면, 소상공인에게 돌아가야 할 정책효과는 순식간에 흡수될 것이며 지역경제의 순환구조는 무너질 수밖에 없다. 행안부 시뮬레이션 결과 역시 이를 명확히 보여준다. 골목상권 매출은 9~18% 감소하고 폐업률은 최대 2.4%p 증가, 소비자금 역외유출은 41%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나로마트는 이미 전국 읍·면 단위에 1,200여 개 매장을 두고 있으며, 전남 지역에서는 생필품 소비의 42%를 점유하고 있다(농협경제지주 2024). 더 이상 농민을 위한 소매조직이 아니라, 농협이라는 이름을 단 사실상의 대형 유통기업으로 평가된다. 농협이 진정 농민과 지역을 위한다면, 가맹 확대가 아니라 지역 소상공인과 상생할 수 있는 구조를 먼저 만들어야 한다.

 

또한 ‘영세농 판로 확대’라는 명분도 현실과 거리가 멀다.농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하나로마트 납품농가의 92%는 중대형 계약농이며, 로컬푸드 매출비중도 10% 미만이다. 실제로 도움을 받아야 할 영세농에게는 혜택이 거의 돌아가지 않는다.

 

정치권 역시 반성해야 한다.지역사랑상품권 제도를 흔들며 “서민 편의”라 포장하는 것은 기만이다.이는 소상공인의 생존권을 담보로 한 정치적 거래이자 지역경제 파괴 행위다.

 

지금 필요한 것은 규제 완화가 아니다.정치권과 행정은 지역상품권의 취지 수호와 상생 강화에 집중해야 한다.상품권은 이름 그대로 지역을 사랑하는 제도로 남아야 한다.

 

우리는 더 이상 침묵하지 않을 것이다.지역의 시장과 골목, 수많은 자영업자의 삶이 걸린 문제 앞에서 전남소상공인연합회는 끝까지 싸워 이 제도의 근본적 가치를 지켜낼 것이다.

지역을 살리는 제도가 자본을 위한 수단으로 변질되는 순간,

지역경제의 미래는 사라진다.

 

2025년 10월 30일

전라남도소상공인연합회

김형 기자 3717050@hanmail.net
Copyright @중소상공인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 제호 : 중소상공인뉴스 I 법인명 : 사)중소상공인뉴스
· 대표/발행인 : 이기성 I 편집국장/편집인 : 이상희
· 등록번호 : 광주-아00364호 I 등록연월일 : 2021년 3월 18일
· 사업자등록번호 : 780-82-00363
· 주소 :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376 3층 전관
· 뉴스제보 : 대표 이메일 ijsn@ijsn.kr
· 대표전화 : 1855-1696 I 팩스 : 062-528-1696
Copyright @중소상공인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